안녕하세요 통통통입니다.
직장인이라면 한 달 동안 일하고 받게 되는 '월급' 대부분 월급으로 한 달간 생활하고 있습니다.
월급은 대부분 생활비, 공과금, 월세, 식비 교통비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부분에 소비하게 되는데, 소비도 중요 하지만 미래를 위해 우리는 '저축' 또한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월급을 받고 나면 얼마나 저축을 하고 계신가요? 연령과 월급 등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얼마나 저금하고 있는지 또 월급 저축의 비율은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저금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월급저축비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저소득층 227만 가구에 24일부터 한시 긴급 생활지원금 지급
적은 월급 부담 줄여주는 두루누리 사회보험!(보험료 80% 지원)
월급저축비율.. 어느 정도가 효율적인 저축일까?
한 기관에서 직장인들의 저축비율을 조사했습니다. 통계를 살펴보면 약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저축을 하고 있다'가 80%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도 25%에 해당하는 이들은 월급의 약 30~40%를 저축하고 21%가 월급의 50% 이상으로 다음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통계 결과 대부분 받는 월급의 절반 정도는 저축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가장 이상적이고 효율적인 저축비율은 월급의 약 몇 % 정도일까요?
월급의 50~60%라고 합니다.
또 전문가들은 저축 60%, 보험 10%, 지출 30%를 추천한다고 합니다.
통상적으로 가장 많이 하고 있는 저축 비율은 월급의 40~50% 지만 실제로 저축을 해보면 생각보다 50%가 절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주거문제, 대출금, 직업, 소비 등에 따라 월급 대비 저축 비중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내집마련, 결혼, 노후준비, 여행자금 등 저축의 이유보다 2030 세대의 재테크 열풍이 불면 '파이어족'처럼 조기은퇴를 저축목표로 무리하는 사람들도 크게 늘었습니다.
※ 파이어족이란?
경제적 자립(Financial Independence)+조기은퇴(Retire Early)를 추진하는 사람들
'파이어족' 특징
1. 30대 말 혹은 40대 초반가지 조기 은퇴하는 것을 목표로 함
2. 소비를 줄이고 수입의 70~80%를 저축하는 등 극단적으로 절약함
3. 자산을 늘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재테크 활동에 참여함
저축 비율을 늘리는 방법
저축을 하는 것은 선저축, 후지출로 월급을 받으면 자동이체 시스템으로 저축할 금액이 먼저 빠져나간 후에 남은 금액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이대 주의해야 할 점은 생할비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매달 지출 금액이 부족한 상황이 올 수 있기 때문에 고정지출에 대해 확실하게 계산을 해두고 저축 금액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앞서 이야기 한대로 효율적인 저축비율이 50~60% 지만 가급적이면 40~50% 정도는 목표로 하고 또 무조건 '그렇게 적출해야 한다'가 아니라 평균적인 비율과 저축에 대한 관심을 두고, 자신의 계획에 맞는 재무기준을 세우는 데 의미를 두고 실천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자료 = 기획재정부 경제e야기
그럼 여기까지 월급저축비율에 대해 알아보고 효율적인 저축비율은 어느 정도인지 파이어족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뉴스통 >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0) | 2023.06.28 |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로 240만 원 소득공제받기! (0) | 2023.06.23 |
2050년까지 전기요금 5배 이상 오른다?? (0) | 2022.04.16 |
브로커조직의 실손 의료보험 사기 조심하세요! (0) | 2022.04.05 |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하는 모바일 알뜰교통카드 (0) | 2022.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