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통통통입니다.
오늘은 240만 원 소득공제받을 수 있는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로 240만 원 소득공제받기!
출산 포기, 결혼 포기, 최근 대한민국의 청년을 이야기할 때마다 빠지지 않는 이양기입니다. 각자 다양한 이유로 많은 것을 포기하지만,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경제적인 부분입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기에도 돈이 부족한데, 가정을 꾸리는 게 부담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정부에서는 그런 청년의 어려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청년의 자산형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시행된 청년희망적금과 지난달 마감된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청년층의 많은 관심을 받았고, 곧 출시될 청년도약계좌에 관한 기대도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만약 지금 근로를 하고 있는 정부의 금융 정책에 관심이 많은 청년이라면 지난 3월 출시되어 이번 2023년 말일까지 가입할 수 있는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이하 청년펀드)는 만 19세부터 34세의 청년이라면 가입 가능한 상품으로, 근로 소득자는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기준으로는 3800만 원 이하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 가입 전 3년 동안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였거나 직전 과세 기간에 소득이 없었다면 가입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청년펀드의 가장 큰 혜택은 월 50만 원씩 연간 600만 원 한도로 납일할 수 경우 납입금의 40%에 해당하는 240만 원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240만 원의 소득공제는 연말정산 시 39만 6000원의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 정도라고 하니 적지 않은 혜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청년펀드는 국내 증시에 40% 이상 투자하며 나머지 비율은 채권과 지수, 해외주식이라는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어 있어 개인의 성향에 따라 안정적으로 투자를 할 수도, 보다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수익을 노려볼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인 부분입니다.
적지 않은 혜택이 있는 청년펀드지만 가입하기 전 유의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우선 청년펀드에 가입하고 최소 3년을 유지해야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3년이 되기 이전에 중도해지를 할 경우 감면 세액의 6.6% 상당 추징금이 부과된다고 합니다.
가입 기간 중 연소득 8000만 원, 종합소득액 67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소득공제 혜택이 중지됩니다. 끝으로 청년펀드는 투자 상품에 해당되기에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것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청년펀드는 은행과 증권자를 통해 가입할 수 있으며 청년펀드를 취급하는 은행과 증권사에서는 청년들의 가입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매수 금액을 지원하는 금융쿠폰이 가장 대표적이며 청년들이 선호하는 경품을 추첨하여 지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료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그럼 여기까지 240만 원 소득공제받을 수 있는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뉴스통 > 사회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 납부부터 환급까지 (0) | 2023.08.19 |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0) | 2023.06.28 |
월급저축비율.. 어느 정도가 효율적인 저축일까? (1) | 2023.01.18 |
2050년까지 전기요금 5배 이상 오른다?? (0) | 2022.04.16 |
브로커조직의 실손 의료보험 사기 조심하세요! (0) | 2022.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