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통통통입니다.
오늘은 전입신고+(플러스) 원스톱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전입신고+(플러스) 원스톱 서비스
바쁘고 정신없는 이사! 전입신고에 우편물 주소 이전에 챙겨야 할 것이 정말 많습니다.
전입신고+(플러스) 원스톱 서비스란?
전입신고+(플러스) 원스톱 서비스란 전입신고와 함께 요금감면 대상자에게 전기요금, 텔레비전 수신료, 도시가스요금 등의 감면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등을 한 번에 신청 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전입신고+(플러스) 원스톱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정부24에서 인증서 로그인을 한 후, 정부24 메인 페이지에서 전입신고+를 선택하거나 상단 메뉴에서 원스톱/생애주기/꾸러미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입신과 외 다른 신고 가능한 서비스
전입신고 신청서 작성 중 추가 신청 동의를 통해,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초등학교 배정정보,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요금감면 서비스를 함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 용어
세대주 : 한 세대의 대표자
세대원 : 한 세대를 구성하고 있는 식구
전입지 : 이사온 곳
전출지 : 전에 살던 곳
전입신고 시 궁금 사항
질문 1 : 온라인 전입신고시 세대주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서비스>간편 확인/안내>사실/진위확인>세대주확인]에서 학인이 가능합니다.
질문 2 : 전입신고 후 처리상태가 세대주 확인 '미접수'로 확인됩니다.
전입지 세대주의 본인확인 과정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전입지 세대주가 직접 [세대주확인] 메뉴를 통해 세대주 확인을 처리해야 합니다.
질문 3 : 전입지 세대주 확인까지 완료되었는데 처리상태가 세대주 확인 '미접수'로 확인됩니다.
세대원이 세대주를 포함하여 신고하는 경우나, 세대원이 만 19세 미만의 세대원을 포함하여 신고하는 경우, 추가로 전출지 세대주의 본인확인 과정이 필요합니다. 전출지 세대주가 직접[세대주확인] 메뉴를 통해 세대주 확인을 처리해야 합니다.
자료 = 대한민국정부
그럼 여기까지 전입신고+(플러스) 원스톱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뉴스통 >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방법 (0) | 2023.05.20 |
---|---|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기준 (0) | 2023.05.19 |
난방비 지원금 신청하는 방법 (0) | 2023.02.07 |
2023년 달라지는 국민연금제도 6가지 (0) | 2023.02.01 |
반도체 등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 알아보기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