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통/정부정책

2023년 달라지는 국민연금제도 6가지

by 니~킥 니~킥 2023. 2. 1.
반응형

안녕하세요 통통통입니다.

오늘은 2023년 달라지는 국민연금제도 6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 인기글

차가 잘 안 나갈 때 원인

브레이크 패드 교체 주기와 자가 점검 방법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과 퇴직금 받는 방법

주차장 뺑소니 대처법

저소득층 227만 가구에 24일부터 한시 긴급 생활지원금 지급

미용사 자격증 취득 방법과 종류

KTX 명당 좌석 외 기차별 고르는 꿀팁

러스틱 라이프 뜻과 방법

적은 월급 부담 줄여주는 두루누리 사회보험!(보험료 80% 지원)

 

 2023년 달라지는 국민연금제도 6가지

 

2023년 계묘년을 맞아 국민연금 제도가 달라졌습니다. 국민연금은 더 많은 국민이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1. 2023년 국민연금액 5.1% 인상

2023년 국민연금액이 5.1% 인상되었습니다. 국민연금은 연금액의 실질 가치를 보장하기 위해 매년 전년도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연금액을 조종합니다. 2022년 1월 연금액 2.5% 인상에 이어 올해 1월에도 전년도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연금액 5.1%를 인상하였습니다.

 

인상된 연금액은 부양가족 연금액까지 적용됩니다. 배우자는 연금 283,380원 자녀와 부모는 연금 188,870원의 금액으로 각각 13,750원 9,160원이 인상되었습니다.

 

2. 농업인에 대한 연금보험료 지원금 상향

두 번째로 농업인에 대한 연금보험료 지원금이 인상됩니다. 45,000원에서 46,350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소득이 103만 원을 초과하는 분은 월 46,350원으로 상향되었는데 소득이 103만 원을 초과하는 분은 월 46,350원이 지원되고 소득이 103만 원 이하인 분들은 월 연금보험료의 50%가 지원됩니다.

 

3. 가사 근로자에 대한 사회보험료 지원 기준 확대

세 번째는 가사 근로자에 대한 사회보험료 지원 기준 확대입니다. 국민연금은 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에게 국민연금 월 보험료의 80%를 지원합니다. 기존에는 월 소득 230만원 미만 종합소득 연 3800만 원 미만일 경우 지원되었다면 올해부터는 월 소득 260만 원 미만 종합소득 연 4300만 원 미만으로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가사 근로자 분들은 연금보험료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합니다. 

 

4. 두리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 지원 기준 완화

네 번째 두리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도 지원 기준이 완화되었다고 합니다. 이 제도는 근로자 수 10명 미만 사업장의 고용된 근로자에게 국민연금보험료의 80%를 지원합니다. 올해부터는 소득기준이 월 230만원 미만에서 월 60만 원 미만으로 완화되었고 지원신청일 직전 1년간 사업장 가입 이력이 없어야 지원 가능했다면 6개월간 사업장 가입 이력이 없을 경우 지원 가능하도록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5. 장애인 활동지원 신청자격 확대

다섯번째로 장애인 활동지원 신청자격이 확대됩니다. 장애인이 자립과 사회 참여를 독려하고 그 가족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애인 활동 지원자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존 활동지원금의 신청이 불가했던 만 65세 미만의 장기요양급여 수급자와 장기요양급여 등급의 분들이 올해부터는 신청이 가능합니다.

 

6. 기초연금 물가 변동률 반영하여 5.1% 인상

마지막으로 기초연금도 전년도 물가 변동률을 반영하여 5.1%가 인상됩니다.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안정적인 소득기반을 제공하고 생활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연금을 올해 1월부터 단독기구 기준 월 최대 323,180원으로 인상되어 지급되며 월 소득이 산정 기준액 이하인 경우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앞으로도 더 많은 국민이 연금 혜택을 누리도록 고민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국민연금공단 온에어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고객센터로 문의하면 된다고 합니다.

 

자료 = 국민연금공단

 

 

 

 

 

 

 

그럼 여기까지 2023년 달라지는 국민연금제도 6가지를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