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음식

달라진 크리스마스 케이크 트렌드

by 니~킥 니~킥 2023. 12.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통통통입니다. 

 

오늘은 달라진 크리스마스 케이크 트렌드를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차가 잘 안 나갈 때 원인

브레이크 패드 교체 주기와 자가 점검 방법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과 퇴직금 받는 방법

주차장 뺑소니 대처법

미용사 자격증 취득 방법과 종류

KTX 명당 좌석 외 기차별 고르는 꿀팁

러스틱 라이프 뜻과 방법

2023년 달라지는 국민연금제도 6가지

건선(마른버짐) 증상과 치료법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총정

산정특례 재등록 신청 방법 및 등록 상병에 대한 확인 방법

연비 높일 수 있는 계기판 rpm 보는 법

벌점 감면과 벌점 없애는 방법

달라진 크리스마스 케이크 트렌드

크리스마스 시즌에 주목받는 케이크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대중적으로 소비되던 생크림 케이크에서 최근에는 유럽의 전통 크리스마스 케이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단순한 '케이크' 구입에서 만족하지 않고 취향에 맞는 유럽 케이크를 골라 미리 예약 주문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크리스마스가 기독교 기념일인 만큼 서구권의 성탄절 분위기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인기 요인으로 제기됩니다. 또 이국적이고 새로운 미식 경험을 찾는 MZ세대 트렌드와도 부합됩니다.

 

컬리 관계자는 "과거에는 단순히 크리스마스를 기념하기 위해 케이크를 마련했다면, 현재는 소비자 취향이 세분화되고, 특별한 것을 중시하는 성향이 높아졌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유럽 문화와 특별한 스토리가 담긴 케이크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현재 컬러에서는 7종의 파네토네(panettone)와 10종의 슈톨렌(Stollen), 3종의 부쉬 드 노엘(Buche de Noel) 등 관련 케이크 품목 수를 점차 늘려가고 있습니다. '오설록 제주 말차 슈톨렌'처럼 1년가량 컬리가 직접 기획·제작에 뛰어들며 공을 들이기도 했습니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호텔 업계에서도 해마다 내놓은 관련 케이크들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프랑스 전통 크리스마스 케이크인 '브쉬드노엘(Buche de Noel)'가 있습니다. 일명 '통나무케이크'로 불려지는 케이크입니다. 모카와 초콜릿, 버터크림을 펴 바른 다음 시나몬 가루를 뿌려 만듭니다. 마치 나뭇가지와 같은 독특한 외형이 시선을 사로잡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크리스마스 장작'이란 의미를 가진 브쉬드노엘은 장작을 태워 액운을 날려버린다는 풍습에서 시작됐습니다. 프랑스에서는 브뤼드 노엘을 먹으면서 한해의 좋지 않은 기운이 사라지길 기원합니다.

 

독일 케이크인 '슈톨렌'은 몇 년 전부터 주목받았던 과일 빵입니다. 흰 눈이 쌓인 듯 고운 슈가파우더가 소복하게 덮여있습니다. 길고 둥근 형태로 고기를 썰듯 조금씩 얇게 썰어내어 한 조각씩 먹습니다. 만드는 과정은 비교적 까다롭습니다. 럼주에 건포도와 같은 과일을 오랫동안 절여두고, 이를 아몬드 등과 함께 구운 다음, 버터를 바르고 슈거파우더를 뿌립니다. 특히 수분을 말려 만들기 때문에 오랫동안 먹을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서늘한 곳에서 2~3주 숙성시킨 뒤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에 독일에서는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슈톨렌을 만드는 전통이 있습니다. 슈톨렌은 빵의 가운데 부분부터 먹은 다음, 단면을 서로 붙여 랩 포장한 후 냉장고에 두면 됩니다.

 

이탈리아에서도 이와 비슷한 '파네토네'를 먹습니다. 슈톨렌처럼 건포도 등 당절임한 건과일이 주재료지만, 이보다 식감이 훨씬 부드럽고 촉촉합니다. 오랜시간 발효한 밀가루 반죽으로 만듭니다.

 

최근 베이커리저문점이나 카페에서도 인기가 높은 '팡도르'역시 이탈리아 케이크입니다. '금으로 만든 빵'이란 뜻처럼 버터와 계란을 사용해 노란 색감을 가졌습니다. 특히 아름다운 외형으로 유명합니다. 8각 별 모양의 빵 위에 하얀 슈가파우더가 가득 뿌려져 있습니다.

 

자료 = 리얼푸드

 

 

 

 

 

그럼 여기까지 달라진 크리스마스 케이크 트렌드를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