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통/정부정책

국민연금 언제부터 낼까?

by 니~킥 니~킥 2023. 8.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통통통입니다.

오늘은 회사 입수 후 국민연금을 내야 하는 시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차가 잘 안 나갈 때 원인

브레이크 패드 교체 주기와 자가 점검 방법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과 퇴직금 받는 방법

주차장 뺑소니 대처법

미용사 자격증 취득 방법과 종류

KTX 명당 좌석 외 기차별 고르는 꿀팁

러스틱 라이프 뜻과 방법

2023년 달라지는 국민연금제도 6가지

건선(마른버짐) 증상과 치료법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총정

산정특례 재등록 신청 방법 및 등록 상병에 대한 확인 방법

연비 높일 수 있는 계기판 rpm 보는 법

벌점 감면과 벌점 없애는 방법

국민연금 언제부터 낼까?

3줄 요약

👉 1일 입사자는 해당 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1일이 아닌 다른 일자 입사자는 다음 달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1일이 아닌 일자에 입사해도 입사한 달부터 납부 가능

👉 국민연금 보험료는 기준소득월액의 9%이며, 사업장가입자의 경우 사용자(회사)와 근로자가 보험료의 절반(50%)씩 부담

 

"7월 20일에 입사한 나는, 언제부터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야 할까?"

 

회사에 입사하게 되면 입사하는 날부터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가 됩니다. 그렇다면 국민연금 보험료는 언제부터 내야 할까요?

 

임사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납부하면 된다고 합니다.

 

다만, 입사일이 초일(1일)이거나 초일 이후 입사하여 가입자가 희망하는 경우 입사 월부터 납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7월 1일에 입사한 경우 7월부터, 7월 20일에 입사한 경우 8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는 것입니다.

 

단, 7월 20일에 입사했지만 가입자가 희망하는 경우 입사한 달부터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다고 합니다.

 

Tip : 현재 국민연금 보험료는 기준소득월액의 9%이며, 사업장가입자의 경우 사용자(회사)와 근로자가 보험료의 절반(50%)씩 부담합니다. 사용자는 근로자의 월급에서 연금보험료를 공제하여 사용자가 부담금과 함께 납부하게 됩니다.

 

국민연금기금 운용현황 및 국민연금 지급일

 

국민연금기금 운용현황 및 국민연금 지급일

안녕하세요 통통통입니다. 오늘은 국민연금기금 운용현황 및 국민연금 지급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차가 잘 안 나갈 때 원인 브레이크 패드 교체 주기와 자가 점검 방법 퇴직금을

tong-tong-tong.tistory.com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 전 알아야 할 것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 전 알아야 할 것

안녕하세요 통통통입니다. 취업하면서 국민연금에 가입하게 됩니다. 그리고 실직 후 소득이 없어도 연금 보험료를 계속 납부해야 할까요? 국민연금 가입 후 소득이 없어 연금보험료를 내기가

tong-tong-tong.tistory.com

 

자료 = 국민연금공단

 

 

 

 

 

그럼 여기까지 국민연금

반응형

댓글